드림재테크저축보험1507, 10년 전에는 2,500만 원 넘게 받을 줄 알았는데 왜 1,900만 원대일까요? 복리·비과세 상품의 현실과 실제 수익이 다른 이유를 분석했습니다. 빠르게 만기금액 차이를 확인하려면 아래 버튼에서 확인하세요.
1. 10년 전 설명과 실제 금액 차이
설계사를 통해 드림재테크저축보험1507에 가입할 당시, ‘복리’, ‘비과세’, ‘2,500만 원 이상 수령 가능’이라는 설명을 들으셨을 겁니다. 하지만 만기 예정금액은 약 1,974만 원. 왜 이렇게 차이가 나는 걸까요?
2. 그 이유는?
① 변동금리 구조 때문
이 상품은 고정금리가 아니라 ‘변동금리형 저축보험’입니다. 설계 당시 보여줬던 3~4%의 수익률은 단지 예시일 뿐이고, 실제 적용 이율은 매월 달라집니다. 지난 10년간 공시이율이 2%대로 하락하며 복리 효과도 기대만큼 나오지 않았습니다.
② 복리에 대한 오해
복리란 이자에 이자가 붙는 구조지만, 기본 금리가 낮으면 그 효과는 제한적입니다. 복리라도 이율이 1~2%라면 실질 수익은 크지 않습니다.
③ 비과세지만 세전 금액이 낮음
10년 이상 유지하면 비과세 혜택은 있지만, 세전 수익 자체가 낮으면 실질 차이는 거의 없습니다. 비과세는 이자소득세 15.4%를 아끼는 것일 뿐입니다.
④ 과장된 예시 제시
설계사가 당시 최고 공시이율(예: 3.5%)을 기준으로 예시를 제시했다면, 현실과는 다를 수밖에 없습니다. 실제 적용된 금리는 대부분 2%대였고, 보장된 최저이율만 반영된 기간도 있었습니다.
⑤ 사업비 차감 구조
초기 5년간은 보험 사업비가 강하게 차감됩니다. 즉, 실질 이자는 5년 이후부터 붙는 구조로, 초반에는 납입원금이 쌓이기만 하는 시기입니다.
3. 실제 수익 계산 예시
구분 | 금액(원) |
---|---|
총 납입액 | 18,000,000 (15만 원 × 120개월) |
만기 예상금액(세전) | 19,743,747 |
실질 수익률 | 약 1.8~2.0% 복리 추정 |
※ 수익이 기대보다 적은 주된 이유는 금리 하락 + 사업비 구조 + 복리 효과 저하입니다.
4. 결론: 고객 탓 아님, 시장 탓
‘호구’가 아니라, 시대 흐름 때문입니다. 2010년대 초반에는 저축보험이 예금보다 유리했지만, 이후 초저금리 시대로 진입하며 대부분 저축보험의 수익률이 하락했습니다.
설계사가 최고 이율 기준으로 예시만 보여줬다면 설명이 과장됐을 수 있지만, 상품 구조상 고객이 실수한 것은 아닙니다.
5. 다음 단계는?
만기 수령액이 기대보다 낮더라도 좌절하지 마세요. 세후로는 예금보다 나은 조건일 수 있으며, 이제는 해지환급금 활용, 추가 재테크 상품 검토 등을 고려해보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