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청년기본소득 완벽 가이드: 경기도 24세 청년이라면 꼭 확인하세요!
청년의 삶의 질 향상과 사회적 기본권 보장을 위해 경기도가 시행 중인 청년기본소득 제도는, 단순한 금전 지원을 넘어 청년의 미래를 응원하는 정책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기준 청년기본소득 신청 자격, 신청 기간, 지급 방식, 주의사항 등을 총정리해드립니다.
청년기본소득이란?
경기도형 기본소득 제도로, 24세 청년에게 분기별 25만 원, 연간 최대 100만 원을 지역화폐로 지급하는 제도입니다.
청년의 행복추구권과 기본 생활권 보장을 위해 시행되며,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합니다.
신청 자격 요건
- 나이 요건: 신청일 기준 만 24세
- 주소 요건: 경기도에 주민등록이 있는 자
- 거주 요건:
- 최근 3년 이상 계속 거주 또는
- 합산 10년 이상 경기도 거주
※ 성남시, 고양시는 2025년부터 사업이 중단되어 신청 불가합니다.
지원 내용 및 지급 방식
| 항목 | 내용 |
|---|---|
| 지급 금액 | 분기별 25만원 (연간 최대 100만원) |
| 지급 수단 | 경기도 지역화폐 (카드 또는 모바일) |
| 지급 방식 | 주소지 시군 지역화폐로 지급 |
| 유효 기간 | 3년 (시흥·군포·과천: 5년) |
| 사용 가능처 | 지역 내 가맹점 및 일부 온라인 |
| 기초생활수급자 | 일시금 지급 가능 (증명서 제출 필수) |
2025년 지급 일정
| 분기 | 생년월일 범위 | 신청 기간 | 지급일 |
|---|---|---|---|
| 1분기 | 2000.01.02 ~ 2000.12.31 | 2025.03.01 ~ 03.31 | 2025.04.20 |
| 2분기 | 2000.04.02 ~ 2000.12.31 | 2025.05.01 ~ 05.30 | 2025.06.20 |
| 3분기 | 2000.07.02 ~ 2001.07.01 | 2025.07.01 ~ 08.11 | 2025.09.10 |
| 4분기 | 2000.10.02 ~ 2001.10.01 | 2025.10.15 ~ 11.24 | 2025.12.20 |
신청 방법 및 제출 서류
신청 방법: 온라인 신청 바로가기
제출 서류:
- 신청서
- 주민등록초본 (신청기간 내 발급, 주소변동이력 포함, 주민등록번호 뒷자리 포함)
- 기초생활수급자 증명서 (해당자에 한함)
※ 마이데이터 서비스 동의 시 초본 자동 제출 가능
사용 가능한 곳은?
- 주민등록 초본상 주소지의 지역화폐 가맹점
- 학원 수강료, 시험 응시료 등은 경기도 전역에서 사용 가능
- 일부 온라인 사용처도 가능 (지역화폐 연동 시)
문의처
- 경기도 콜센터: 031-120 (24시간)
- 경기도미래세대재단: 1877-0566
- 시·군청 청년담당 부서
자주 묻는 질문 (FAQ)
Q1. 내가 2025년에 만 24세인데 꼭 신청해야 하나요?
A. 네, 청년기본소득은 24세 단 한 번만 신청 가능합니다. 해당 연도에 반드시 신청하세요.
Q2. 대학생도 신청 가능한가요?
A. 네, 재학 여부와 관계없이 자격 요건만 충족하면 신청 가능합니다.
Q3. 기초생활수급자는 어떻게 받나요?
A. 일시금으로 지역화폐를 받을 수 있으며, 수급자 증명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Q4. 온라인에서도 지역화폐 사용할 수 있나요?
A. 가능하지만, 지역화폐 결제가 연동된 온라인 사용처에서만 사용 가능합니다.
청년기본소득은 여러분의 청년 시절을 응원하는 정책입니다. 자격이 된다면 꼭 신청하고, 주변에도 공유해 주세요!

0 댓글